하루한가지 56

하루 한가지식 알아가는 대화법.73 (말은 가슴에 대고 해라.)

말은 가슴에 대고 해라. 말을 하는 목적은 내 생각을 바르게 전하기 위해서다. 그래서 말은 그저 입으로만 해도 잘 전해질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입으로만 말하면 생각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당신은 입으로만 말해 놓고는 상대편을 향해 내 말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한다거나 쓸데없이 오해한다며 화를 낸 적이 있을 것이다. 당신뿐만 아니라 대부분은 사람들이 그런 식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말로 생각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것은 항상 말하는 사람의 책임이다. 듣는 사람이 잘못 알아듣는 것은 말하는 사람에게 잘못이 있다. 말하는 사람에게는 듣는 사람이 제대로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말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무인도에서 혼자 살다가 식인종 한 명을 만나 같이 살게 된 로빈슨 크루소는 그 ..

인간관계 2023.06.14

하루 한가지식 알아가는 대화법.69 (모르는 사람은 모른다.)

모르는 사람은 모른다. 학력이 높다고 해서 세상 이치를 더 많이 아는 것은 아니다. 독서를 많이 한 사람도 경험하지 않은 것은 모른다. 당신도 아주 가끔 박식한 사람이 의외로 아주 기본적인 상식을 모르는 것을 보고 놀란 경험이 있을 것이다. SNS를 통해 널리 알려진 몸짱과 얼짱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는 사람은 모른다. 증권 전문가가 증권 한다고 해서 돈을 잘 버는 것이 아니고, 교사라고 해서 자녀를 모두 훌륭하게 키우는 것이 아니듯, 전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조차 자신의 분야에 대한 매우 기본적인 상식조차 모르는 경우도 많다. 그 때문에 그 정도쯤은 다 알리라는 것을 전제로 말하면 상대편이 잘못 알아들을 수도 있다. 평소 거들먹거리며 온갖 세상사에 대해 다 아는 척하던 상사마저도 아주 시시한 상식에 문..

인간관계 2023.05.27

하루 한가지시 알아가는 대화법.66 (말도 연습이 필요하다.)

말도 연습이 필요하다. 모국어는 누구나 저절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착각이다. 말도 갈고 닦아야 잘할 수 있다. 평소 잘 사용하지 않던 말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은 연습 부족 때문이다. 칭찬에 인색한 사람 중에는 마음이 고약해서라기보다 칭찬하는 말을 연습해 두지 않아서인 경우가 많다.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말은 연습이 안 되어 있어 그처럼 사용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제 막 진급한 동료의 호칭을 바꾸어 부르려고 할 때나 막 결혼한 후 배우자 가족들에 관한 호칭을 부를 때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도 연습 없이 바로 말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신이 사랑하는 연인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은 당신이 연인을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 말을 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서일 것이다. 당신이 당신의 의견을 정확하..

인간관계 2023.05.24

하루 한가지식 알아가는 대화법.64 (눈치가 빠르면 대화가 쉬워진다.)

눈치가 빠르면 대화가 쉬워진다. 대화를 나눌 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상대편의 눈치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 사람의 현재 기분은 어떤가? 현재 내 말을 들어줄 처지에 있는가? 내 말이 그 사람에게 제대로 전달될 만한 기분인가? 당신이 만약 이제 막 돈 때문에 가족끼리 다툰 사람에게 물건을 사라고 한다면 틀림없이 실패할 것이다. 만약 당신이 실적 때문에 회사에서 질책받고 퇴근한 남편에게 진급 이야기를 꺼낸다면 남편은 울화통부터 터뜨릴 것이다. 만약 당신이 길을 찾지 못해 헤매고 있는 사람에게 길을 묻는다면 그 사람은 당신 말을 무시할 것이다. 당신이 진정으로 즐거운 대화를 나누고 싶다면 상대방을 철저히 연구해야 한다. 그가 음악을 좋아하는가? 그림을 좋아하는가? 그가 와인을 마시며 우아한 이야기 하기를 좋..

인간관계 2023.05.22

하루 한가지식 알아가는 대화법.63 (말 한마디에 인생이 바뀔 수 있다.)

말 한마디에 인생이 바뀔 수 있다. 사람들은 누군가의 한 마디 때문에 인생이 바뀌기도 한다. 당신이 하는 말이 누군가의 운명을 바꾸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니 당신에게는 생각 없이 말할 자유가 없다. 교사인 당신이 제자를 향해 던진 말 한마디가 제자의 인생을 바꿀 수도 있다. 부모인 당신이 자녀를 향해 " 너 같은 애가 할 줄 아는 게 뭐가 있어. 그만둬." 라고 말함으로써 그 아이를 무능한 성인으로 만들 수 있다. 만약 당신이 "그래 너도 할 수 있어. 이번에는 방법을 바꾸어서 해봐라. 너는 그 정도쯤은 문제없이 할 수 있잖아."라고 말했다면 그 아이는 유능한 청년으로 자랐을 지도 모르지 않은가? 상사인 당신이 늘 구석 자리를 차지하고 사람들을 피하는 부하직원에게 "나네가 앞장서야 우리 부서가 빛나지...

인간관계 2023.05.20

하루 한가지식 알아가는 대화법.61 (듣는데도 정성이 필요하다.)

듣는데도 정성이 필요하다. 남의 말을 경청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누구나 남의 말을 수용하기보다 남이 내 말을 수용해 주기만을 바라는 이기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남이 말할 때 머릿속으로는 딴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 머릿속을 들여다볼 수는 없으므로 윗사람의 말을 들으면서도 속으로는 얼마든지 딴생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소홀히 들으면 상대편의 의도를 전혀 파악할 수 없어 엉뚱한 일을 할 가능성이 높다. 그 엉뚱한 일이 큰 문제로 발전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남편인 당신이 TV 중계에 눈을 떼지 않은 채 아내의 말에 건성으로 대답하면 아내가 무슨 말을 했는지 기억하지 못해 엉뚱한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상사인 당신이 바쁘다며 귀로는 부하직원의 보고를 듣고 눈으..

인간관계 2023.05.18

하루 한가지식 알아가는 대화법.60 (가르치려는 것도 말에 따라 달리 들린다.)

가르치려는 것도 말에 따라 달리 들린다. 사람들은 천성적으로 누군가를 가르치고 싶어한다. 한 살 위인 형도 동생을 가르치려고 한다. 유치원 아이들조차 자신보다 어린아이들을 가르치려고 한다. 어떤 사람은 윗사람마저 가르치려고 든다. 며느리도 구식 시어머니에게 신식 살림법을 가르치고 싶어하고 신입 사원도 최신 정보에 어두운 직장 상사를 가르치고 싶어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남을 가르치는 것은 좋아하지만, 남에게 가르침을 받는 것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니 아랫사람이 가르치려고 들면 어떻겠는가? 심지어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아이도 자기보다 어린아이가 가르치려고 하면 화를 낸다. 그렇다고 해서 상대편이 잘 모르는 일을 가르치지 말라는 말은 아니다. 가르치려면 방법을 달리하라는 말이다. 사람들이 아무리 가르침..

인간관계 2023.05.17

하루 한가지식 알아가는 대화법.59 (지적은 짧게 칭찬은 길게.)

지적은 짧게 칭찬은 길게. 당신 주변에 마음에 드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잘못에 대한 지적은 칼날같이 하지만 칭찬에는 인색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 당신의 지적이 너무 날카롭다면 그들은 주눅이 들어 그동안 잘해 오던 일조차 제대로 못 할는지도 모른다. 아마 당신도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는데 누군가가 잘못을 낱낱이 지적하면 화가 날 것이다. 물론 당신이 여러 사람을 거느려야 할 리더라면 모든 사람에게 좋은 말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길게 지적한다고 해서 통솔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짧게 지적하면 지적받은 사람도 마땅히 리더로서 잘못을 지적하는 것이라고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칭찬할 때는 지적할 때보다 길게 해라. 그가 비록 날카로운 지적을 받았을지라도 칭찬에 고무되어 지..

인간관계 2023.05.16

하루 한가지식 알아가는 대화법.58 (믿는 사람이라도 자신의 비밀은 말하지 마라.)

믿는 사람이라도 자신의 비밀은 말하지 마라. 세상에 비밀은 없다. 오죽하면 대궐에도 귀가 붙어 있다고 말하겠는가? 겹겹이 호위병이 둘러싸고 있는 깊은 궁궐에서 나눈 비밀 이야기도 밖으로 새어 나간다는 것이다. 사이가 좋을 때는 "이건 너하고 나만의 영원한 비밀이야.약속!" 이라고 외치지만 조금만 마음이 달라지면 그 비밀은 우스갯소리로 전락할지도 모른다. 상대편과의 우정을 돈독히 하려고 당신의 모든 치부를 다 말해 주었는데 그가 당신을 헌신짝처럼 버리고 이를 제삼자에게 공개했음을 알게 되었을 때 당신은 배신감으로 치를 떨 것이다. 그러나 그들만을 탓하지 마라. 당신에게도 잘못이 있다. 당신의 잘못이란 비밀이 지켜지기를 바란 비현실적인 판단이다. 관계가 달라지면 공유하던 비밀의 무게는 먼지처럼 가벼워지는 법..

인간관계 2023.05.15

하루 한가지식 알아가는 대화법.57 (단어 하나가 큰 차이를 만든다.)

단어 하나가 큰 차이를 만든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등 단어 하나의 차이가 얼마나 다른 의미를 담는가에 대한 속담이 많다. 그런가 하면 '님'이라는 단어에 점 하나만 붙이면 '남'이 된다는 대중가요도 있다. 그만큼 단어 하나의 의미 차가 큰 것이다. 미국의 클린턴 전 대통령은 바람을 피우고도 '성추문'이라는 단어 대신 '부적절한 관계'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위기를 모면하기도 했다. 그리고 미국처럼 인종 차별이 중요한 사회 문제가 되는 나라에서는 단어 하나를 잘못 사용하면 인종 차별주의자로 몰려 사회적인 비난을 받기도 한다. 안소니 홉킨스와 니콜 키드먼이 주연한 영화 의 주인공인 71세의 저명한 학자 콜만 실크(안소니 홉킨스)는 강의 중 뱉었던 사소한 단어 한 ..

인간관계 2023.05.13
반응형